아이패드로 코팅하자! (Blink Shell & Code Editor)

 이글은 이전 GCP를 소개하는 글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https://chojema.blogspot.com/2023/01/google-cloud-platformgcp.html

이전에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GCP, Google Cloud Platform)를 통해 개인 프로젝트에 사용할 있는 VM 인스턴스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이러한 이전까지는 컴퓨터 브라우저를 통해 VM에 접속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편하지만 무조건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무조건 컴퓨터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iOS 어플을 소개 드리겠습니다. 바로 Blink Shell & Code Editor입니다.



Blink ShelliOS 용 전문적인 데스크탑 급 터미널 에뮬레이터 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한 어플은 많지만 Blink Shell 최대 장점은 끊기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어플을 이용하면서 홈화면에 나가거나 github에서 다른 코드들을 볼 일이 많이 발생할 것입니다. 여타 다른 어플들의 경우 이렇게 화면을 이동할 때 작업이 끊겨 다시 시작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Blink는 이러한 상항에서 끊이지 않는 연결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간단하게 shell을 이용하여 우리가 만든 VM인스턴트에 SSH로 접속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SSH키 생성



SSH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Blink에서 RSA 암호키를 발급 받아야합니다. Shell‘config’를 입력하면 설정 화면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Connect > Keys & Certificates’로 들어가서 새로운 키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Public Key를 복사해줍니다.


다음 메타데이터에 public key를 등록합니다.


햄버거 버튼에서 설정 > 메타데이터에 들어갑니다. 이곳에서 SSH 키를 등록합니다.

 

VM 접속

이제 Blink를 통해 VM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다시 Blink 설정화면으로 들어가서 ‘Connect > Hosts’에 들어가줍니다. 이곳에서 HostName에 전에 만든 VM의 외부 IP을 입력하고 Key를 방금 만든 RSA암호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AliasBlink에서 접속할 때 사용하는 이름으로 취향에 맞춰 설정하시면 됩니다.

이제 blink shellssh [Alias]를 입력해주면 VM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축하합니다! 이제 언제 어디서나 아이패드만 있으면 본인이 만든 프로젝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카페에서 가볍게 작업하고 싶으신 분들 Blink를 이용하여 작업해보는 건 어떨까요?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Machine Learning vs. Deep Learning: What’s the Real Difference?

Conquering the Bullwhip: How Information Sharing Transforms Supply Chains

저작권 문제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Pixa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