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에 진심인 당신을 위해! : 위시버킷(WISHBUCKET)

 

  쇼핑은 소비자의 구매 욕구에서 비롯된다. 칫솔, 휴지 등과 같은 생활 필수품이 구매 욕구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생활에 필수적이지는 않더라도 있다면 소비자에게 큰 만족감을 주는 물건이나 단순히 소장하고 싶은 물건 등이 그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런 유형의 쇼핑은 구매에 이르기까지 제법 많은 단계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어떤 소비자가 겨울을 맞이하여 장갑을 갖고 싶어한다고 생각해보자. 이 때, 이 소비자는 장갑의 소재, 모양, 색깔, 디자인, 기능, 품질, 가격 등의 많은 요소를 고민해보아야 한다. 이 장갑 자체에 대한 선택만으로도 복잡한데, 브랜드와 개별 쇼핑몰이 매우 다양해진 요즘에는  "내 마음에 쏙 드는 상품"을 찾으려면 더욱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필자는 흩어져 있는 수많은 상품 더미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만족스러운 상품을 찾으려다 지쳐 구매 자체를 포기한 적도 많았다. 혹시 당신도 필자와 같은 경험이 있다면, 위시버킷을 사용해보는 것은 어떨까?


 위시버킷은 여러 사이트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을 간편하게 모아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앱이다. 위시버킷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간편한 위시템(wish + item) 저장 

- 앱 내에 정보가 없는 상품이더라도 해당 상품의 링크를 복사하여 간단하게 저장 가능

2. 할인 및 재입고 알림

- 위시리스트에 담아 둔 상품의 가격이 떨어지거나, 품절된 상품이 재입고 되었을 때 알림이 발송되어 놓치지 않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 가능

 3. 주제별 버킷 관리

 - 사용자가 상품을 분류하거나 정리할 수 없어 불편함을 주는 일반적인 장바구니 기능과 달리, 위시버킷에서는 원하는 기준을 바탕으로 간편하게 버킷을 만들고 편집 가능

- 같은 주제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버킷을 확인 가능

4. 위시템 트렌드 및 랭킹 확인

- 사람들이 좋아하는 트렌디한 위시템 및 오늘의 추천 버킷을 랭킹으로 확인 가능


 위시버킷의 기능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위시버킷을 이용하여 장갑을 구매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앱 내의 검색창에 "장갑"을 검색하면, 여러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을 구경할 수 있다. 상품의 이미지와 가격, 할인 정보, 품절 유무 등이 한 눈에 보이도록 화면이 구성되어 있다. 개별 상품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가 "장갑"을 주제로 구성한 버킷 또한 구경해볼 수 있다. 

   

 관심있는 상품을 발견한다면, 클릭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바로 얻을 수 있다. 구매 사이트에 있는 상품의 구매 리뷰가 연동되어 위시버킷 앱 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같은 상품의 판매처가 다양한 경우, 가격 비교 기능을 이용하여 가장 저렴한 판매처를 확인할 수 있다. 상품이 마음에 들면, "위시템 담기" 버튼을 클릭하여 담을 수 있다.   

       
 
 버킷 내에 있는 장갑들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상품은 상단 고정을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품의 삭제 또한 가능하다. 버킷 내의 상품이 많아졌을 때에는 버킷 내 검색 기능과 필터링 기능을 활용하여 쉽게 찾을 수 있다. 버킷에 담아둔 상품의 가격이 떨어졌거나, 재입고되었을 경우 알림을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상품을 구매하려는 경우, 앱 내의 "상품 정보 더보기" 버튼을 이용하여 바로 해당 상품의 판매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위시버킷은 쇼핑을 좋아하며 선택에 신중한 소비자에게 필요한 기능을 세세하게 고민한 흔적이 드러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직관적인 화면 구성과 간편한 사용법으로 위시버킷이 당신의 소비를 즐겁게 만들어 줄 것이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Machine Learning vs. Deep Learning: What’s the Real Difference?

Conquering the Bullwhip: How Information Sharing Transforms Supply Chains

저작권 문제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Pixa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