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자료 검색할 땐? 학술연구정보서비스사이트 ‘RISS'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한 후, 과제 또는 발표에 필요한 자료를 어디서 찾아야 하나 고민했을 학우들을 위해 웹사이트 ‘RISS’를 소개한다.

먼저,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의 약자로, 전국 대학이 생산하고 보유하며 구독하는 학술자원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대국민 서비스이다. 따라서, 고려대학교 학우들은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포털 아이디 로그인을 통해 RISS의 다양한 자료들을 열람할 수 있다. RISS는 국가학술연구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을 통한 국가적 연구 경쟁력 강화, 인적자원의 개발을 통한 차세대 산업동력 제고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RISS에서는 2,291,160건의 학위논문, 1,038,190건의 음성논문, 6,304,375건의 국내학술논문, 62,608,654건의 해외학술논문, 184,584건의 학술지, 12,523,772건의 단행본, 167,166건의 연구보고서 등 다양한 연구자료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런 다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인문과학계열, 사회과학계열, 공학계열, 자연과학계열, 교육학계열, 의약학계열, 농수해양계열, 예술체육계열, 복합학계열로 나뉜 주제별 최신 인기논문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주제별로 나눈 계열을 참고하여 내가 관심 있는 키워드와 학술지를 등록하면, 자료 이용 성향을 분석하여 정기적으로 맞춤 자료를 추천 받는 MYRISS서비스도 있다. 먼저 상단의 MYRISS 버튼을 누른 뒤, 관심 키워드 설정칸에 관심 키워드를 등록하면 그에 해당하는 최신 학위논문과 국내학술논문이 제공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관심 학술지를 등록하여 최신 학술논문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RISS 상세페이지에서 빨간 하트를 눌러 관심학술지를 등록하면, 내 관심논문 > 관심학술지 등록 페이지에서 등록한 관심 학술지에 새로운 논문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알려준다. 이 때, 최대 5개까지 등록 가능하고 30일까지 저장 가능하다.

과거에 나온 자료들 뿐만 아니라 최신 학술 연구 동향을 찾아볼 수도 있고, RISS 는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하지만, 모바일에서도 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RISS는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도 시행하고 있다. RISS 정보취약계층서비스는 RISS에서 제공하는 정보취약계층(장애인, 거동불편자, 다문화가정, 유학생 등)을 위한 학술정보서비스이다. 구체적인 실현 방법으로는 음성 학위논문 서비스와 해외학술자료 구매지원 서비스가 있다. 음성 학위논문 서비스는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국내 학술자료 음성 제공하는 것이고, 해외학술자료 구매지원 서비스는 등급과 유형에 관계없이 인증받은 장애연구자를 위한 1인당 최대 연간 10, 60만원 상당의 해외학술자료 구입 지원 서비스이다. 

이렇게 양질의 정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지식'이 중요한 자원이 된 사회에서 기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더 적극적으로 RISS를 이용해야 할 것 이다. 그럼 이제 위키피디아나 네이버 지식인은 안녕하는 게 어떨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Machine Learning vs. Deep Learning: What’s the Real Difference?

Conquering the Bullwhip: How Information Sharing Transforms Supply Chains

저작권 문제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Pixa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