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눈에 우리 경제 파악하기 '한국은행 경제통계 시스템 ECOS'


한국은행 경제통계 시스템 ECOS

 현대 사회는 금융·경제에 의해 돌아간다. 이에 대해 딱딱하고, 지루하고, 속물적인 것이라고 말하며 관심 갖길 꺼리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는 오판이다.

 돈은 현대 사회를 굴러가게 하는 ‘혈액’이다. 이를 공급하는, ‘혈관’과도 같은 금융과 경제에 대해 아는 것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며, 반대로 금융·경제에 대한 이해 없이는 현대 사회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이 사회에 몸담고 있는 현대인으로서, 주어진 세상에 잘 적응하고 또한 흐름을 읽고 새로운 기회를 엿보기 위해 경제 흐름을 잘 읽을 수 있는 시각을 길러야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경제 흐름을 읽는 시각을 기를 수 있을까? 이를 위해 우리는 경기, 물가, 경상수지, 금리, 주가, 환율, 부동산의 변수에 대해 잘 이해해야 하며, 위 변수들의 흐름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어야 한다. 위 일곱 변수들은 우리가 경제 상황을 판단할 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이 모든 변수들을 한 눈에 파악하고, 경제 상황에 대한 판단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홈페이지가 있다. 


바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이다. https://ecos.bok.or.kr/#/


ECOS의 대표 화면. (출처 : https://ecos.bok.or.kr/#/)


 ECOS는 우리나라의 통화와 관련한 경제 전반을 운용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하는 대한민국의 중앙은행 “한국은행”이 경제 관련 지수를 통계로 나타낸 것을 정리, 총합하여 놓은 홈페이지다.


 ECOS는 GDP 지수, 소비자·물가 지수, 경상 수지 등의 주요 경제 변수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가독성 높게 제시하는 UI 구조를 지니고 있다.  


나아가 국고채, 환율, 코스피 지수 등 경제 일일지표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금 등 원자재 가격도 잘 정리된 깔끔한 레이아웃을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경제 관련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홈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들은 다소 투박한 양상을 띠는 경우가 많다. 불친절한 UX/UI를 제공하거나, 누락된 지표들도 종종 있어 종합해 보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ECOS를 이용하면 ‘눈이 편하게’ 경제 지표를 간편하게 확인하고 현 경제 상황에 대해 보다 더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어 유용하다.


ECOS의 100대 통계자료 모음 (출처 : https://ecos.bok.or.kr/#/StatisticsByTheme/KoreanStat100)



 더불어, ECOS가 갖는 객관성과 신뢰성, 그리고 종합성에 대해서 논하지 않을 수가 없다. 경제 지표와 관련해서 시중에 많은 분석 자료가 존재한다. 지금 이 순간도 끊임없이 많은 경제 지표들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의견을 덧붙여 자료를 편집하고 해석해주는 콘텐츠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이롭지 못한 현상이다. 스스로 객관성을 지닌 자료를 보고 흐름을 읽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ECOS는 객관적인 공적 기관에 의해 신뢰성이 보장되는 100대 통계 지표, 시각화 통계 모두를 제시하고 있다. 원하는 통계 지표를 간편하게 시스템 상에서 클릭해 살펴볼 수 있다. 통계지표는 단락별, 연도별로 잘 정리되어있다. 


 통계지표에서 등장하는 낯선 경제·통계 단어들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통화금융통계 용어 사전이 홈페이지에 내재되어 있어 통계 자료에 대해 잘 이해하며 자료를 분석, 활용할 수 있다. 


ECOS를 활용하여 경제의 흐름을 읽는 시야를 모두가 넓혀가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돈과 금융을 혈액과 혈관에 비유한 설명의 출처 : 김진호, 『김진호 교수의 금융학 강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Machine Learning vs. Deep Learning: What’s the Real Difference?

Conquering the Bullwhip: How Information Sharing Transforms Supply Chains

저작권 문제 없는 무료 이미지 사이트, 'Pixa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