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1994068 유지현
날짜: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여행 또는 교환학생으로 한국을 떠나 다른 나라에서 생활하게 되거나 혹은 다른 이유로 해외에 거주를 하게 되었을 때 출국에 앞서 그 나라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꼭 빼놓지 말고 알아둬야 할 것 중 하나는 '그 나라의 물가가 어떻게 되는지'일 것이다.
따라서 물가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비교해볼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바로 넘비오(numbeo)라는 사이트다.
Numbeo를 통해 각국, 각도시의 이용자들이 직접 입력한 데이터를 통해 각도시의 소비자 물가 등을 비교, 확인해볼 수 있다.
-Numbeo 이용방법
아래의 사진은 서울의 물가를 품목별로 표시해주고 있다.
해당 사진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교통비, 인터넷 비용, 청바지 한벌, 나이키 운동화, 도심 원룸의 월세, 시외 원룸의 월세 등 상세한 카테고리로 나누어 전반적인 현지 물가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표현되는 통화를 바꿀수도 있어 나에게 익숙한 통화로 다른 나라의 물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두 도시 간의 물가를 비교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두 도시 사이의 전체적인 소비자 물가의 차이가 어떤지, 그리고 각각의 항목 별 차이는 어떤지 쉽게 확인해볼 수 있다. 아예 택시비, 기름값을 계산해 볼 수 있는 Calculator도 별도로 제공한다.
Numbeo에서는 생활비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국가별, 도시별 pollution, health care, quality of life, traffic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지만 이러한 정보는 Numbeo보다는 다른 사이트에서 확인하는 게 더 나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이유는 Numbeo의 장단점에서 언급할 것이다.
-Numbeo의 장단점
우선 사전에 방문할 나라 그리고 해당 도시의 물가에 대한 정보를 한 눈에 비교해 보고 확인해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인터넷에 정보를 찾아봤자 우리나라보다 비싼편인지, 싼편인지 대략적으로만 알게되어 예산을 세우기 어렵다. 하지만 Numbeo를 활용한다면 현지 물가에 더욱 부합하는 현실적인 예산을 세울 수 있게 된다. 같은 국가 내에서도 수도와 외곽지역처럼 물가 차이가 큰 경우가 많은데 Numbeo에서는 도시 별로 물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큰 물가 차이에도 당황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Numbeo는 앞서 얘기했듯이 각국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정보들로 크라우드 소싱된 데이터베이스인데 Peer Review를 거치지 않아 잘못된 정보를 필터링 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도심의 아파트, 외곽의 아파트와 같이 기준이 모호한 카테고리도 있어 정보의 객관성, 정확성에 의문을 품을 수 있다. 따라서 Numbeo를 맹신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사전조사 목적으로 참고하는 정도로만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