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향대로 읽고, 듣고, 쓰는 독서 ‘밀리의 서재’
취향대로 읽고, 듣고, 쓰는 독서 ‘밀리의 서재’
‘밀리의 서재’는 국내 최초 독서 플랫폼으로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넷플릭스, 웨이브, 왓챠 같은 OTT처럼 구독 형태로서 현재는 구독료 월 9,900원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올해로 설립 6년째인 밀리의 서재는 콘텐츠 11만권, 파트너 출판사 1400여개와 공급 계약을 맺은 국내 최대 독서 플랫폼으로서 자리매김했다. 책의 종류는 소설, 자기계발서, 에세이, 잡지 등 다양하게 구비 되어 있어 취향에 따라 골라 읽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오디오북, 라이브 방송, 베스트 셀러 모아보기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2016년에 설립된 밀리의 서재는 코로나19 이후 급성장세를 보였다. 코로나19 여파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지자 구독 서비스가 인기를 끌게 된 것이다. 지난 4월 기준 밀리의 서재 누적 회원 수는 450만명을 돌파하며 지난해보다 150만명 이상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매출 성장도 눈에 띄게 커져 지난해 289억원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목표는 IPO를 완료하고 콘텐츠 투자를 다방면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5월 27일에는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했고 약 800만주를 상장할 예정이다. 기업가치는 3000억원대로 추정되고 있다.
밀리의 서재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당신을 위한 추천’ 카테고리가 가장 상단에 위치해 있다. 해당 카테고리는 구독자의 독서 기록을 통해 독서 취향을 분석하고 유사한 종류의 책을 추천해준다.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들은 취향에 맞는 책을 찾아야 할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다음으로 위치한 카테고리는 ‘지금! 서점 베스트’이다. 서점 3사 100위 내의 책을 소개하는 카테고리로서 나 이외의 독서가들에게 요즘 가장 인기인 책을 알고 싶을 때 안성맞춤인 서비스이다. 최근 이슈 및 시사를 파악할 수 있고 독서 편식하는 습관이 있다면 해당 카테고리를 통해 취향을 넓힐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외에도 오디오북, 짧은 글을 읽고 문해력을 테스트해볼 수 있는 책-잇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어 단순히 독서를 지루한 것으로 생각하는 ‘비독서인’들이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자신의 취향에 따라 책 종류를 선택하던 아날로그 독서법에서 책 읽는 방식까지 고를 수 있는 세대를 밀리의 서재가 연 것이다.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수강할 수 있는 명문 강의 ‘K-MOOC’
K-MOOC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주관하는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를 말한다. K는 Korean을 의미하고 M은 Massive로서 수강인원이 무제한인 것을 의미한다. O는 각각 Open과 Online으로서 모든 사람이 무료로 수강 가능하고 웹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강좌를 의미한다. C는 Course로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된 교육 코스를 의미한다.
기존에 강의실에서 제한된 인원의 학생만이 강의를 들을 수 있었던 강의 형태에서 청강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 동영상으로 변화한 수업입니다. 또 현재는 청강뿐만 아니라 질의응답, 토론, 퀴즈, 과제 제출 등 양방향 학습을 할 수 있는 모습으로 완성되어 오프라인 강의 못지않은 수준 높은 질의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K-MOOC의 비젼은 컬러풀한 미래를 꿈꾼다는 것이다. 가르치는 자와 배우려는 자를 더 가깝게 연결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어제보다 나은 미래, 새로운 미래, 더 다채로운 미래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인 서비스는 크게 박람회, 토크콘서트, 특강으로 나뉜다. 박람회는 매년 평생학습박람회에 참가하는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토크콘서트는 참여대학교수와 학습자가 만나 대화할 수 있고 다양한 공연이 제공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특강은 대학에서 강의를 청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대학생들의 경우 전공 외 교양 학점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아 K-MOOC을 통해 학점 인정을 받는 형태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 외에도 청소년, 대학원생, 일반 성인 학습자, 구직자 및 재직자 등 다양한 형태의 수강자들이 존재한다.
출처
최지웅, 「밀리의 서재’ 험난한 IPO 여정」, 팍스넷뉴스, 2022.06.08.


Comments
Post a Comment